LH, 청년·신혼 등 매입임대주택 3000가구, 8일부터 청약 접수
인근 시세의 30% 수준
공급 대상 및 지역
올해 1차로 청년, 신혼·신생아 매입임대주택 3300여 가구를 공급합니다. 매입임대 사업은 LH가 도심 내 교통 접근성이 좋아 직주근접이 가능한 신축·기존 주택을 매입해 무주택 청년·신혼부부 등에 저렴하게 임대하는 제도입니다.
전국에 총 3332가구를 공급하며, 유형별로는 청년 매입임대주택 1513가구, 신혼·신생아 매입임대주택 1819가구를 공급하고 지역별로는 서울·경기·인천 등 수도권 지역이 1398가구, 그 외 지역은 1934가구입니다.
임대 조건
청년매입임대주택은 만 19~39세 청년 등을 대상으로 공급하는 주택으로, 인근 시세의 40~50% 수준입니다. 학업·취업 등의 사유로 이주가 잦은 청년층의 수요를 반영해 주택 여건에 따라 냉장고, 세탁기, 에어컨 등 가전제품을 갖춰 공급될 예정입니다.
신혼·신생아 매입임대주택은 결혼 7년 이내 신혼부부, 예비신혼부부, 신생아가구 등을 대상으로 공급하는 주택입니다. 소득 및 자산기준 등에 따라 신혼·신생아 I, II 유형으로 구분합니다.
신혼·신생아 I 매입임대주택은 다가구, 다세대주택 등을 시세 30~40% 수준으로 공급하는 유형입니다.
신혼·신생아 II 매입임대주택은 아파트·오피스텔 등을 시세 70~80% 수준의 준전세형(임대조건의 80% 보증금, 월임대료 20%)으로 공급해 임대료 부담을 줄여줍니다.
아울러 신혼·신생아 II 유형은 저출생 대안 등에 따라 올해부터 신청 자격 요건이 일부 변경됩니다. 지난해 동일 순위 내 추가 배점만 부여되던 미성년자녀를 둔 한부모가족이나 신생아가구 등은 1순위 대상자로 접수가 가능하니 참고해주세요.
신청 자격 및 거주 기간
유형별 거주기간은 청년매입임대주택 최장 10년(입주 후 혼인한 경우 20년), 신혼·신생아 I 매입임대주택 최장 20년, 신혼·신생아 II 매입임대주택 최장 10년(자녀가 있는 경우 14년) 입니다.
입주대상자 모집 일정 등은 지역본부별·유형별로 달라 LH청약플러스에 게시된 공고문을 확인 후 신청하면 됩니다. 당첨자는 오는 6월 중 발표되며 입주 자격 검증과 계약 체결 절차를 거쳐 6월말 이후 입주가 가능합니다.
입주대상자 모집 일정 등은 지역본부별·유형별로 다르기 때문에 LH청약플러스에 게시된 공고문을 확인 후 신청하면 됩니다.
'사회복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울시 '동행메이트 2기' 약자 동행 정책 서포터즈 10명 모집 (0) | 2024.04.14 |
---|---|
경기도 맘튼튼 축산물 꾸러미 지원 사업 산모에 5만원 이내 축산물 선물 (0) | 2024.04.11 |
전남도, 월 1만원 임대료 '전남형 만원주택' 공급 시작 (0) | 2024.04.08 |
울산 중구 저소득층 대상 소확행 사업 추진, 1인당 50만원 지원 (1) | 2024.04.06 |
서울시, 모든 임산부 교통비 지원 등 개정 자치법규 공포 (0) | 2024.04.05 |